KBO 리그 설정
본 커뮤니티는 서치 방지 및 현실과의 혼동을 막기 위해 이블라인作 ‘천재타자가 강속구를 숨김’ 속의 팀명을 차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 팀명을 차용했을 뿐, 커뮤니티는 작품 내 세계관 및 타임라인을 따라가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커뮤니티 내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KBO in 2032

아래로 2032년 KBO리그에 대한 설정이 이어집니다. 
기본적으로 아래의 5항목은 실제 리그를 그대로 따라갑니다. 기재 되지 않은 모든 하위 규정 또한 실제 리그 규정을 따릅니다.
KBO 출범 년도와 10개 구단 체제

KBO 리그의 출범년도는 실제 리그와 동일하게 1982년입니다. 출범 구단수 또한 동일합니다.
현재의 10개 구단 체제를 그대로 따릅니다.
지역 연고제와 구단 연고권

실제 리그의 지역 연고제와 구단의 지역 연고권 제도를 따라갑니다. 지역 연고제 변천사와 각 구단의 연고지 변천 또한 실제 역사를 따릅니다.
1차 지명 폐지 및 전면 드래프트 시행

2023년 KBO 신인 드래프트(22년 시행)부터 적용된 1차 지명 폐지, 전면 드래프트 시행을 그대로 따릅니다.
각 구단은 전년도 최종 순위 역순으로 신인 지명권을 가집니다. 
외국인 선수 제도

외국인 선수 제도를 그대로 따라갑니다. 외국인 선수 3명 보유, 3명 출전. 3명 모두 투수이거나 타자일 수는 없습니다. 시즌 중 교체 한도는 2회로 합니다.
FA 신청 자격 조건

FA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KBO 소속으로 8 정규시즌을 충족해야 합니다. 대학 야구선수로서 4년간 등록되어 있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경우 조건을 7 정규시즌으로 단축합니다.

 

이 외의 리그 규정이 아래로 이어집니다. 이하 기재된 항목은 실제 리그와 다른 항목이 다소 있습니다.
이하의 항목은 기존 야구팬들을 위해 제공하는 추가 디테일이므로 필독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경기수 및 리그 일정
4월 첫째주부터 리그 시작, 정규 시즌 경기 144G로 동일. 페넌트레이스 방식과 코리아시리즈 진행까지 모든 리그 진행 일정 및 경기수는 동일합니다.
혼성리그
현재 KBO 리그는 혼성 리그 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소프트볼과 다르게 혼성 경기 편성인원/타순에 대한 규정은 없습니다.
AI 심판 사용 여부
전면 사용이 아닌 심판 보조용으로 사용합니다. 보통은 판단이 애매한 공의 스트라이크존 통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안식년 제도
프로 선수는 개인 사업자로 취급하지만, 선수의 복지를 위해 리그 차원에서 안식년 제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선수는 최대 2년까지의 안식년을 사용 가능합니다. (가족 1년/개인 1년.) 해당 안식년에 한하여 해당 연도의 계약을 안식년 다음 연도로 이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개월 단위로 분할사용은 불가능합니다.
포스팅 시스템
7시즌 이상 리그에서 활동한 선수는 구단과의 협의 후 포스팅 시스템을 거쳐 해외리그 진출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피치 클락 도입
메이저리그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피치 클락을 사용합니다. 상세 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피치클락은 포수가 투수에게 전달한 공을 받는 순간 작동을 시작한다.
제한 시간은 주자 없을 시 15초, 주자 있을 시 제한 시간 20초.
각 주자당 견제구 2회까지는 보크 선언 없음, 3회부터는 주자 아웃 실패시 보크로 선언한다. 주자 상태가 변경되면 견제구 제한은 초기화된다.  
우천 취소 규정
현재 리그 우천 취소 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경기 전 강우량이 20mm내외일 경우 풍량과 이후 일기예보를 종합해 경기 여부를 결정한다.
강우량이 30mm 이상으로 예상될 경우 우천 취소한다. 이는 경기 진행이 시작된 경우에도 해당한다.
경기 중단 시점이 6회 이전이라면 노게임 선언, 이후는 강우 콜드 선언한다.
강우 대기 시간은 최대 30분으로 한다. 게임 중단에 대한 결정은 기본적으로 심판진에게 있다.
다만, 양팀이 동시에 이의를 제기할 경우 협의를 통해 경기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